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구독하기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는 분기별로 발행되는 「ICM News」를 통해 센터소식, 무예에 관한 전문가 및 청소년 기고문, 연관 정보를 전하고 있습니다.
구독신청을 통해 센터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제목 [Voices of Youth] 자폐범주성장애(ASD) 아동을 위한 형평적인 무예수업 구성방법에 관한 거시 구조적 제안

  • 조회수
    610
  • 작성일
    2021-09-08
  • 첨부

본 사진은 글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C) Markus Spiske on Unsplash.

 

Caio Amaral Gabriel

심리치료사/신경심리학 석사

소속: Judoquinhas

canalcaiotv@gmail.com

+55 (11) 99206-0881

 

Patrícia Mattos Taveira do Amaral

언어치료사/신경심리교육학 석사

소속: Judoquinhas

ubiweb2010@gmail.com

+55 (11) 97696-9273

 

Ricardo Bezerra Gabriel

체육 교사/오락·레크레이션·레저학 석사

소속: Judoquinhas

rigabriel79@gmail.com

+55 (11) 97681-5372



초록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예는 자폐범주성장애 진단을 받은 학생의 건강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으며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인 모두를 위한 폭넓고 수준 있는 교육의 보장을 장려한다이와 관련해서 본 글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자율신경계를 해석한 다미주 이론그리고 인간의 신경 발달 원리를 모방할 때 건강과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참여 시퀀스의 이론적 체계에 기반하여무예가 자폐 아동에 미치는 효과를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수업 구상친화적인 학습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키워드: 무예자폐범주성장애건강교육다미주 이론참여 시퀀스지속가능발전목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예는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진단을 받은 학생의 건강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으며(Garcia et al., 2021; Rivera et al., 2020; Bell et al., 2016; Bremer et al., 2016; Bahrami et al., 2015; Movahedi et al., 2013; Bahrami et al., 2012),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중 하나인 모두를 위한 폭넓고 수준 있는 교육의 보장을 장려한다(UNESCO & UNESCO-ICM, 2019).


이와 관련해서 본 글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자율신경계를 해석한 다미주 이론(Polyvagal Theory/Porges, 2011)과 참여 시퀀스(Sequence of Engagement/Winfrey & Perry, 2021)의 이론적 체계에 기반하여, 무예가 자폐 아동에 미치는 효과를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수업 구상, 친화적인 학습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미주 이론에서 타인과의 연결은 일차적으로 필요한 생물학적 책무이다. 이 연결을 통해 인간의 자율신경계는 안전을 감지하는 신경지(neuroception)’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개인의 신경생리학적 상호 조절의 핵심 요소로 주로 성공적인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성취된다. 한편 신경지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건강, 교육, 학습 경험이 저해된다.


자폐 아동은 안전을 감지하는 신경지 과정의 부재로 교감신경계나 배측미주신경계에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감각 자체는 완벽하게 작동하지만 효율적으로 처리되지 못한 내외부 감각 자극에 과부하가 생겨서 발생한다(Caldwell & Horwood, 2008). 교감신경계와 배측미주신경계의 자율신경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지속적으로 경험한다.

  (1) 인간의 대인관계, 창의력, 회복력, 치료와 연관이 있는 뇌신경(V, VII, IX, XI) 및 미주신경(X)의 복측 분지가 심장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사회 참여 체계(social engagement system)를 억제한다(Porges, 2011).

  (2) 신체 도식 및 신체상 발달 과정을 저해한다. 교감신경계나 배측미주신경계의 자율신경 상태에 빠진 학생은 사회 참여 체계를 통한 세계와의 연결이나 대인관계 형성 과정에 취약하며 세계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필요한 강력한 신체 도식과 자아상을 발달시키지 못한다(Bridges, 2015).

  (3) 미주신경긴장도가 낮아져서 학생의 인내심, 즉 건강하게 충돌을 조절하는 역량이 감소(Ogden et al., 2006)하지만, 미주신경긴장도가 증가하면 심장 미주신경의 복측 분지가 작용하여 자율신경계가 회복한다(Porges, 2011).

이에 자폐 아동은 자기 조절을 위한 대처 전략을 개발하며 적응하는데 그러한 전략으로는 도피, 투쟁, 경직 반응 등이 있다(Caldwell & Horwood, 2008). 이처럼 자폐 아동은 학습에 어려움을 겪으며, 뇌가 정상적인 기능으로 작동하는 학생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상황에서 무예의 장점을 충분히 누리지 못한다.


따라서 포용성과 동등성을 높이기 위해, 안전을 감지하는 신경지 발달에 유리한 무예 수업을 위한 거시적인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신경지 발달은 참여 시퀀스를 통해 가능하다. 참여 시퀀스는 인간의 신경 발달을 모방하여 상향식으로 뇌간 조절에서 시작해서 간뇌, 변연계, 그리고 최종적으로 피질에 순차적으로 이를 때 건강과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Winfrey & Perry, 2021).


뇌간 조절은 훈련 환경에 존재하는 감각 관련 요소들을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최소한의 물건이 체계적으로 정돈된 환경과 더불어 경계는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무채색, 패턴이 없거나 부드러운 패턴을 사용하고 사건 시퀀스의 이해와 예측을 도와주는 시각 자료 활용, 조명 제어, 약한 소리, 냄새 중화를 권장한다(Caldwell & Horwood, 2008; Horowitz & Röst, 2007).


간뇌의 경우 지도자가 훈련 방식을 의도적으로 선별하여 수련생의 충동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지도자가 예측 가능하고, 질서 정연한 방식으로 간단한 임무를 점진적으로 부여하여 근육, 관절, 인대의 자기수용기(proprioceptor)를 자극하고, 균형 감각을 키우고, 신체 도식 및 자아상을 발달시키고, 과민성을 낮추고, 운동 계획을 지원한다(Horowitz & Röst, 2007).


변연계에서 지도자는 학생과의 연결을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하는 등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 참여 체계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표정, 운율, 몸짓을 사용하여 안정감을 전달(Ogden et al., 2006)하고, 역동적이고 도전적인 반대를 통해 이타성과 상호 존중을 가르칠 수 있으며(Kimmel & Rogler, 2019). 재미있는 방식(Panksepp & Biven, 2012)으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피질은 내러티브(이야기, 은유, 비유, 딜레마) 구성, 일기 쓰기, 수업 내용 수정 활동, 수업 요약과 연관이 있는데. 이는 신경 통합을 증진하는 강력한 구성 수단으로 작용한다(Cozolino, 2013).

이 전략들이 함께 작용할 때 무예가 학생들에게 더욱 유연하게 다가갈 수 있다. 학생이 무예에 적응하기를 바라기보다는 자폐 아동의 건강과 발달 모두를 뒷받침하는 보람 있는 경험을 추구해야 한다.


 

참고문헌

Bahrami, F., Movahedi, A., Marandi, S. M., & Abedi, A. (2012). Kata techniques training consistently decreases stereotyp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3(4), 11831193. https://doi.org/10.1016/j.ridd.2012.01.018

Bahrami, F., Movahedi, A., Marandi, S. M., & Sorensen, C. (2015). The Effect of Karate Techniques Training on Communication Defici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6(3), 978986. https://doi.org/10.1007/s10803-015-2643-y

Bell, A., Palace, K., Allen, M., & Nelson, R. (2016). Using Martial Arts to Address Social and Behavioral Functio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50(2), 176180. https://doi.org/10.18666/trj-2016-v50-i2-7287

Bremer, E., Crozier, M., & Lloyd, M.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behavioural outcomes following exercise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m, 20(8), 899915. https://doi.org/10.1177/1362361315616002

Bridges, H. (2015). Reframe Your Thinking Around Autism: How the Polyvagal Theory and Brain Plasticity Help Us Make Sense of Autism. Jessica Kingsley Publishers.

Caldwell, P., & Horwood, J. (2008). Using Intensive Interaction and Sensory Integration: A Handbook for Those who Support People with Severe Autistic Spectrum Disorder. Jessica Kingsley Publishers.

Cozolino, L. (2013). The Social Neuroscience of Education: Optimizing Attachment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W. W. Norton & Company.

Garcia, J. M., Cathy, B. S., Garcia, A. V., Shurack, R., Brazendale, K., Leahy, N., Fukuda, D., & Lawrence, S. (2021). Transition of a Judo Program from In-Person to Remote Delivery During COVID-19 for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dvances i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5(2), 227232. https://doi.org/10.1007/s41252-021-00198-7

Horowitz, L., & Röst, C. (2007). Helping Hyperactive Kids -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echniques and Tips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Hunter House Publishers.

Kimmel, M., & Rogler, C. R. (2019). The anatomy of antagonistic coregulation: Emergent coordination, path dependency, and the interplay of biomechanic parameters in Aikido. Human Movement Science, 63, 231253. https://doi.org/10.1016/j.humov.2018.08.008

Movahedi, A., Bahrami, F., Marandi, S. M., & Abedi, A. (2013). Improvement in social dysfun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llowing long term Kata techniques training.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7(9), 10541061. https://doi.org/10.1016/j.rasd.2013.04.012

Ogden, P., Minton, K., & Pain, C. (2006). Trauma and the Body: A Sensorimotor Approach to Psychotherapy. W. W. Norton & Company.

Panksepp, J., & Biven, L. (2012). The Archaeology of Mind: Neuroevolutionary Origins of Human Emotions. W. W. Norton & Company.

Porges, S. W. (2011). The Polyvagal Theory: Neurophysiological Foundations of Emotions, Attachment, Communication, and Self-regulation. W. W. Norton Company.

Rivera, P., Renziehausen, J., & Garcia, J. M. (2020). Effects of an 8-Week Judo Program 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Mixed-Methods Approach.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51(5), 734741. https://doi.org/10.1007/s10578-020-00994-7

UNESCO & UNESCO-ICM. (2019). Youth Development Through Martial Arts: An Evaluation Framework for Youth Activities. https://bangkok.unesco.org/content/youth-development-through-martial-arts-evaluation-framework-youth-activities

Winfrey, O., & Perry, B. D. (2021). What Happened to You? Adfo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