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구독하기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는 분기별로 발행되는 「ICM News」를 통해 센터소식, 무예에 관한 전문가 및 청소년 기고문, 연관 정보를 전하고 있습니다.
구독신청을 통해 센터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제목 [ICM's Pick] 태권도 시범을 통한 청소년 자기효능감 증진

  • 조회수
    142
  • 작성일
    2025-04-09
  • 첨부

태권도 시범을 통한 청소년 자기효능감 증진


이용우 (2022년 무예전문가 연수 프로그램 참가, 태권도 지도자)


한국의 청소년들은 입시 중심의 교육 체제와 과중한 학업 부담으로 인해 정서적 불안정, 우울, 위축 등의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정미라, 정은, 2017). 또한, 학업, 진로, 외모, 신체 변화 등으로 인한 갈등과 고민은 불안과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며, 이는 청소년기에 형성되어야 할 인지적 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어수지, 2021).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태권도 시범 활동을 제안합니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국기로서, 청소년들에게 친숙하고 접근이 용이한 무예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태권도 도장은 청소년들에게 낯설지 않은 운동 공간입니다. 즉, 접근성과 친숙함이 있습니다.​


태권도 시범은 단순한 기술의 나열이 아니라, 수많은 연습과 노력이 집약된 결과물입니다. 청소년들은 시범을 준비하며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고, 끊임없는 연습을 통해 기술을 연마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얻은 성취감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의미하며, 이는 도전적인 상황에서의 동기 부여와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최영준, 2016).​


또한, 시범을 통해 자신의 기량을 공개적으로 선보이는 것은 타인의 피드백을 직접적으로 받는 기회입니다. 관중의 박수와 격려는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노력이 인정받고 있음을 느끼게 하며, 이는 자신감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경험은 다른 도전에도 주저하지 않고 나설 수 있는 용기를 심어줍니다(진은희, 2023).​


태권도 시범은 철저히 팀 중심의 활동입니다. 시범은 개인의 역량만으로 완성될 수 없으며, 구성원 간의 호흡과 배려, 책임 분담을 통해 완성됩니다(김경태, 김인재, 2010). 이 과정에서 청소년은 협동의 중요성과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체득하게 됩니다. 선후배 간의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존중과 질서의 문화는 무예 특유의 인성 교육이자, 공동체 사회의 기초 덕목을 익히는 기회가 됩니다. 또한 지도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은 소통 능력을 키우고, 갈등 상황에서의 감정 조절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김남중, 김근국, 2019).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학업의 스트레스와 압박이 심각하며, 여가 시간도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주말을 활용하여 태권도를 취미활동으로 삼고, 개인이 아닌 공동체(팀)의 일원으로서 공연팀에 속해 시범을 보이거나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면, 이는 교육적 효과와 함께 문화로도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태권도 시범은 단순한 스포츠 활동이나 예술적 퍼포먼스를 넘어,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복합적인 교육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몸을 움직이며 자신을 표현하고, 동료와 협력하며 공동체의 가치를 배우며, 개인이 격파를 성공했을 때의 만족감과 공동체와 함께 성공적으로 공연을 했을 때의 경험은 청소년기의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말 취미활동으로 태권도 시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신체적 건강 증진은 물론,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이 지속된다면, 태권도 시범은 청소년 교육의 한 축으로서, 그리고 문화 활동으로서 더욱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김경태, 김인재(2010). 청소년의 태권도수련이 인성형성과 친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 539-547.

김남중, 김근국(2019). 태권도 시범단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공연만족의 구조적 관계. 국기원태권도연구, 10(4), 147-165.

정미라, 정은(2017).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17(12), 399-407.

진은희(2023). 유리드믹스를 활용한 심리운동 활동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운동연구, 9(2), 85-108.

최영준(2016). 중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 관계: 입상경력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151-159.


※  본 글은 참가자 개인의 의견입니다.